
교수진 소개
서울대 대학원 휴먼시스템의학과 교수진을 소개합니다.
참여교수

홍윤철 교수 ychong1@snu.ac.kr
- 예방의학교실
- 환경유전역학
▼ 펼쳐보기
▲ 접기
홍윤철 교수는 가정의학, 예방의학,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진흥원장과 국민건강증진개발원의 국민건강스마트관리사업단장을 맡고 있다. 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는 ‘인간, 사회, 그리고 의료’라는 학과목의 책임교수이며, ‘질병의 탄생’, ‘질병의 종식', '팬데믹'이란 책을 출간한 바 있다. 학술연구의 주된 분야는 환경의학이며 국제학술지에 300편 이상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사무소의 '기후변화와 환경' 정책자문단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웅한 교수 woonghan@snu.ac.kr
- 흉부외과학교실
- 흉부외과학
▼ 펼쳐보기
▲ 접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국제보건의 가치를 몸소 실천했던 이종욱 전 WHO 사무총장(1945~2006)의 정신을 이어받아 국제의료문제에 대한 교육, 연구, 국제공헌 실천을 목적으로 2012년 8월 설립되었습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장으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국제의학 강의를 개설해 의과대학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과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으며, 중저소득국의 질병예방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의료인을 대상으로 의료역량강화 교육 및 연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팀 기반 접근법을 사용한 소아심장수술 역량강화, 외상외과 인프라 구축 및 의료진 역량강화, 병원감염관리 의료진 역량강화, 산전 초음파 진단 기법 역량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네팔, 베트남, 에티오피아,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중저소득국의 의료전문인력 800여 명이 현지와 한국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더불어 지역사회보건의료 구축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필리핀, 네팔 등 다양한 국가에서의 취약계층의 질병예방을 위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보건의료분야 국제개발원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한 국제보건사업의 방향을 연구하고있습니다. 이러한 근거 기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기관과 학계 및 현장 전문가에게 실행전략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정부의 정책제언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Consortium of Universities for Global Health(CUGH, 국제보건을 위한 컨소시엄)과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APHA)학회 등 다양한 국제보건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근거기반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교육 – 글로벌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위한 의료인 및 보건관료 양성
● 서울의대 국제보건의료 강의
● 국제보건의료 학생 교육 (의예과, 본과)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인턴십 프로그램
● Academia for Global Medicine 강연 시리즈
● 중저소득국 의료인 대상 교육 및 연수
연구 – 증거에 기반한 국제보건의료정책 방향 제시
● 해외 보건의료 원조사업 효과성 평가연구
● 중저소득국 보건의료체계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국제보건의료의 실태조사
● 이주민 노동자의 의료 접근성 평가
● 글로벌 외과 교육 및 적용과학(Program in Global Surgery and Implementation Science)
국제공헌 – 현지 의료 환경과 의료진 역량에 맞는 적정의료기술 개발 및 보급
● 외과분야(흉부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등) 의료진 연수 및 현지 수술
● 초음파 진단 기술 교육
● 일차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
● 병원 내 감염 예방 및 관리 기술 전수
● 만성호흡기질환 예방 및 주거환경 개선
● 감염병 관리, 보편적 의료 보장(UHC), 모자보건 등
● 네팔 청각건강증진 프로그램
● 필리핀 학교보건 프로그램
<영문버전>
Woong-Han KIM,
Director of JW LEE Center for Global Medicine
Professor of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JW LEE Center for Global Medicine (JW LEE CG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was inaugurated with a speech by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in August 2012. It has arisen quickly as one of the leading entities and key actors in the rapidly emerging global health arena. It was established to conduct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international healthcare sector, and operates with devo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the motto of the late Dr. Jong-wook Lee (1945-2006), "Do What You Think is Right".
As a facilitator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for health, JW LEE CGM realizes effective aid and further contributes to disease prevention and promotion of health based on sustainability, accomplished through the efforts of SNU’s excellent human resources. The center continuous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and has started to transfer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JW LEE CGM also provides its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to ensure that projects bring fruitful outcomes, providing evidence-based technical advice and hands-on experience in Vietnam, Nepal, Laos, Mongolia, Cote d’Ivoire, Uzbekistan, and Ethiopia. It also conducts global health research from an integrate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It has established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 agencies, major universities, and hospitals both within Sou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to promote research competency and increase performance, supporting global health research on a variety of subjects.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국제보건의 가치를 몸소 실천했던 이종욱 전 WHO 사무총장(1945~2006)의 정신을 이어받아 국제의료문제에 대한 교육, 연구, 국제공헌 실천을 목적으로 2012년 8월 설립되었습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장으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국제의학 강의를 개설해 의과대학 학생들이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질과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으며, 중저소득국의 질병예방과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의료인을 대상으로 의료역량강화 교육 및 연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팀 기반 접근법을 사용한 소아심장수술 역량강화, 외상외과 인프라 구축 및 의료진 역량강화, 병원감염관리 의료진 역량강화, 산전 초음파 진단 기법 역량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네팔, 베트남, 에티오피아,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비롯한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중저소득국의 의료전문인력 800여 명이 현지와 한국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더불어 지역사회보건의료 구축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필리핀, 네팔 등 다양한 국가에서의 취약계층의 질병예방을 위한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보건의료분야 국제개발원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속가능한 국제보건사업의 방향을 연구하고있습니다. 이러한 근거 기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외 기관과 학계 및 현장 전문가에게 실행전략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정부의 정책제언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Consortium of Universities for Global Health(CUGH, 국제보건을 위한 컨소시엄)과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APHA)학회 등 다양한 국제보건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근거기반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교육 – 글로벌 공동체의 건강증진을 위한 의료인 및 보건관료 양성
● 서울의대 국제보건의료 강의
● 국제보건의료 학생 교육 (의예과, 본과)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인턴십 프로그램
● Academia for Global Medicine 강연 시리즈
● 중저소득국 의료인 대상 교육 및 연수
연구 – 증거에 기반한 국제보건의료정책 방향 제시
● 해외 보건의료 원조사업 효과성 평가연구
● 중저소득국 보건의료체계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국제보건의료의 실태조사
● 이주민 노동자의 의료 접근성 평가
● 글로벌 외과 교육 및 적용과학(Program in Global Surgery and Implementation Science)
국제공헌 – 현지 의료 환경과 의료진 역량에 맞는 적정의료기술 개발 및 보급
● 외과분야(흉부외과, 정형외과, 성형외과 등) 의료진 연수 및 현지 수술
● 초음파 진단 기술 교육
● 일차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
● 병원 내 감염 예방 및 관리 기술 전수
● 만성호흡기질환 예방 및 주거환경 개선
● 감염병 관리, 보편적 의료 보장(UHC), 모자보건 등
● 네팔 청각건강증진 프로그램
● 필리핀 학교보건 프로그램
<영문버전>
Woong-Han KIM,
Director of JW LEE Center for Global Medicine
Professor of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JW LEE Center for Global Medicine (JW LEE CG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was inaugurated with a speech by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in August 2012. It has arisen quickly as one of the leading entities and key actors in the rapidly emerging global health arena. It was established to conduct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international healthcare sector, and operates with devotion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accordance with the motto of the late Dr. Jong-wook Lee (1945-2006), "Do What You Think is Right".
As a facilitator of South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aid for health, JW LEE CGM realizes effective aid and further contributes to disease prevention and promotion of health based on sustainability, accomplished through the efforts of SNU’s excellent human resources. The center continuous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and has started to transfer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other developing countries. JW LEE CGM also provides its knowledge and human resources to ensure that projects bring fruitful outcomes, providing evidence-based technical advice and hands-on experience in Vietnam, Nepal, Laos, Mongolia, Cote d’Ivoire, Uzbekistan, and Ethiopia. It also conducts global health research from an integrated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It has established partnerships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 agencies, major universities, and hospitals both within South Korea and around the world to promote research competency and increase performance, supporting global health research on a variety of subjects.

조비룡 교수 belong@snu.ac.kr
- 가정의학교실
- 건강증진의학
▼ 펼쳐보기
▲ 접기
Dr. Cho is a professor of family medic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s a chief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is major interests lie on the Family Medicine, obesity, smoking cessation, stress management, health promotion medicine and geriatrics. He has written many books such as ‘Primary physician of my family’, ‘Male Menopause’, ‘Medical information for Geriatrics’, ‘Aging and Geriatrics’ etc. His last research papers are :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and Weight Gain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Asian Male Population, Atherosclerosis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use of gastric cancer screening services in Korea. World J Gastroenterol(2009), Efficacy of low-calorie, partial meal replacement diet plans on weight and abdominal fat in obese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a double-blin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two diet plans. one high in protein and one nutritionally balanced, Int J Clin Pract(2009)

이종구 교수 docmohw@snu.ac.kr
- 가정의학교실
- 의료관리학
▼ 펼쳐보기
▲ 접기
이종구 교수는 서울대 의과대학을 1982년 졸업하고 동 대학병원에서 가정의학을 수련하고 동 대학의 보건대학원에서 역학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2003년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핬다.
1988년 경기도 연천군보간의료원 진료부장의 공무원을 시작하여 1994년 국립보건원 보건행정학담당관을 거쳐 2007-2011년 질병관리본부장을 마지막으로 공무원을 퇴임하였다.,
2012년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의 부교수로 임용되어 일차의료 정책, 일차의료와 국제보건, 공공의료 분야의 강의와 연구를 수행 중이며 보건대학원에서 감염병 역학을 강의 중이다. 2019년 부터 교수로 임용되었다.. 2012년-2018년까지 이종욱글보벌의학센타의 초대 센타장을 역임한 후 건강사회교육센타를 맡아 보고 있다. 공공의료학회 회장, 의협 국민건강보호위원징, 보건복지부 규제개혁 민간위원징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외교부 글로벌 보건인보대사로 임명되어 코로나의 우리나라 대책을 외국에 소개하고 있다.
홍역, 에이즈, 홍역 등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만성질환의 코호트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가정의학, 의료관리학, 예방의학의 교과서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
1988년 경기도 연천군보간의료원 진료부장의 공무원을 시작하여 1994년 국립보건원 보건행정학담당관을 거쳐 2007-2011년 질병관리본부장을 마지막으로 공무원을 퇴임하였다.,
2012년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의 부교수로 임용되어 일차의료 정책, 일차의료와 국제보건, 공공의료 분야의 강의와 연구를 수행 중이며 보건대학원에서 감염병 역학을 강의 중이다. 2019년 부터 교수로 임용되었다.. 2012년-2018년까지 이종욱글보벌의학센타의 초대 센타장을 역임한 후 건강사회교육센타를 맡아 보고 있다. 공공의료학회 회장, 의협 국민건강보호위원징, 보건복지부 규제개혁 민간위원징을 역임한 바 있으며. 현재 외교부 글로벌 보건인보대사로 임명되어 코로나의 우리나라 대책을 외국에 소개하고 있다.
홍역, 에이즈, 홍역 등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만성질환의 코호트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하였으며 가정의학, 의료관리학, 예방의학의 교과서 공동 저자이기도 하다.

신상도 교수 sdshin@snu.ac.kr
- 응급의학교실
- 응급의료체계 구급의학 재난의학
▼ 펼쳐보기
▲ 접기
신상도 교수는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역학전공) 석사, 강원대 의대에서 의학박사 (예방의학전공)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응급의학전공의 및 전임의를 마치고 2004년 보라매병원 임상교수 및 2005년 서울대병원에서 임상교수, 2010년 기금부교수, 2016년 교수로 재직중이며, 2012년-2014년까지 미국 에모리대학 보건대학원에서 방문연구원 및 객원교수로 근무하였다.
신상도 교수는 주로 응급의료체계, 구급의학, 재난의학 분야에서 연구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시아응급의료학회 초대회장을 담당하였으며, 현재 아시아심장정지연구네트워크 공동의장, 아시아외상연구네트워크 의장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의 국가재난의료교육프로그램의 한국교육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신상도 교수는 주로 응급의료체계, 구급의학, 재난의학 분야에서 연구 및 교육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시아응급의료학회 초대회장을 담당하였으며, 현재 아시아심장정지연구네트워크 공동의장, 아시아외상연구네트워크 의장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의 국가재난의료교육프로그램의 한국교육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신좌섭 교수 hismed1@snu.ac.kr
- 의학교육학교실
-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교수개발
▼ 펼쳐보기
▲ 접기
신좌섭 교수는 서울의대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에서 의사학 석사, 한양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를 취득하고 의학교육에 관한 연구와 실천, 후진양성에 종사하고 있다.
2012년 서울의대 의학교육학교실 설립 후 초대부터 현재까지 주임교수를 맡고 있고 서울의대 의학교육연수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부터 개발도상국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사업에 헌신하여 몽골, 미얀마, 라오스, 남태평양도서국 포럼 등 20여개국의 사업에 관여하였다.
2010년부터 국제퍼실리테이터 협회의 공인 전문 퍼실리테이터로서 숙의 토론을 통한 참여적 의사결정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서울의대가 교육개발 협력센터의 지정을 받도록 하고 현재까지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2012년 서울의대 의학교육학교실 설립 후 초대부터 현재까지 주임교수를 맡고 있고 서울의대 의학교육연수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부터 개발도상국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사업에 헌신하여 몽골, 미얀마, 라오스, 남태평양도서국 포럼 등 20여개국의 사업에 관여하였다.
2010년부터 국제퍼실리테이터 협회의 공인 전문 퍼실리테이터로서 숙의 토론을 통한 참여적 의사결정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서울의대가 교육개발 협력센터의 지정을 받도록 하고 현재까지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다.

이승희 교수 lshcho@snu.ac.kr
- 의학교육학교실
- 교육학(교육경제학), 의학교육학
▼ 펼쳐보기
▲ 접기
이승희 교수는 서울의대 의학교육학교실에서 2012년부터 현재까지 후진양성, 정책개발, 의학교육 관련 다수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서울의대 의학교육연수원에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전국의대 신임교수 워크숍 강의, 교수법, 학생 평가 방법, 교육과정 평가 방법, 의과대학의 선발과 입학 워크숍 등 다수의 강의를 맡고 있다.
2015년부터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교육문화원 부원장을 역임하며 의과대학 입학 담당자 역량강화 워크숍, 의학교육과정 개발 관리와 평가 워크숍, 의과대학 교수를 위한 리더십 워크숍, 임상실습교육과 평가 방법 등 다수의 워크숍을 계획 및 강의하여 미래 의학인재들의 역량 강화와 의학교육 전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14년부터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인증관리위원회의 위원으로 지속적인 의학교육의 질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
서울의대 의학교육연수원에서 2012년부터 현재까지 전국의대 신임교수 워크숍 강의, 교수법, 학생 평가 방법, 교육과정 평가 방법, 의과대학의 선발과 입학 워크숍 등 다수의 강의를 맡고 있다.
2015년부터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교육문화원 부원장을 역임하며 의과대학 입학 담당자 역량강화 워크숍, 의학교육과정 개발 관리와 평가 워크숍, 의과대학 교수를 위한 리더십 워크숍, 임상실습교육과 평가 방법 등 다수의 워크숍을 계획 및 강의하여 미래 의학인재들의 역량 강화와 의학교육 전반의 질적 향상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또한 2014년부터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인증관리위원회의 위원으로 지속적인 의학교육의 질 제고에 노력하고 있다.

한서경 교수 hahns@snu.ac.kr
- 의학통계학전공
- 의학통계학
▼ 펼쳐보기
▲ 접기
한서경 교수는 의학통계학자로서 근거기반 의료의사결정을 위한 의료기술평가 연구방법론 전문가이다. 임상시험연구의 설계 및 수행, 임상시험 연구자료의 메타분석, 의료기술의 비용효과분석 등이 주 관심분야이며, 임상문헌자료원에 기반한 근거합성과 real world data 를 이용한 예측모형 등 이차 자료원을 이용한 평가 방법에 특히 관심을 가지고 다학제적 공동연구 및 방법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암, 당뇨병 등 여러 질병분야에 걸쳐 다양한 유형의 치료법 뿐 아니라 영상 진단에 대한 평가 등 광범위한 임상분야에서의 응용연구를 수행해왔고, 기존 의료기술평가방법의 문제점 제시 및 한계점 극복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의료기술평가 현장에서의 활용을 위한 방법론적인 지침 저술 및 평가 방법론 자문가로서 공헌하고 있다.

윤현배 교수 hbyoon@snu.ac.kr
- 의학교육학
- 의학교육학
▼ 펼쳐보기
▲ 접기
윤현배 교수는 서울의대를 졸업한 뒤 서울대병원에서 내과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를 취득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에서 의학교육학 석사, 서울대학교에서 의학교육학 박사를 취득하고 의학교육에 관한 연구와 실천, 후진양성에 종사하고 있다.
2013년부터 개발도상국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사업에 참여하여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메룬 등 여러 나라에서 관련 사업에 관여하였다.
2016년부터 서울의대 의학교육실과 의예과에서 교육담당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의학교육부장, 2020년부터 의학교육연수원 국제부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2016년부터 국제퍼실리테이터 협회의 공인 전문 퍼실리테이터로서 참여적 의사결정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부터 개발도상국 보건의료인력 역량강화 사업에 참여하여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몽골, 우즈베키스탄, 카메룬 등 여러 나라에서 관련 사업에 관여하였다.
2016년부터 서울의대 의학교육실과 의예과에서 교육담당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9년부터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의학교육부장, 2020년부터 의학교육연수원 국제부장 등을 역임하고 있다.
2016년부터 국제퍼실리테이터 협회의 공인 전문 퍼실리테이터로서 참여적 의사결정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장준환 교수 jhjang602@snu.ac.kr
- 정신과학전공
▼ 펼쳐보기
▲ 접기
장준환 교수는 서울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를 취득하였으며, 서울의대에서 정신과학 전공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1-2015년 기간 연건학생지원센터 정신건강실장으로 근무하였고, 2015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센터장을 역임하며 캠퍼스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연구 측면으로는 청년기 우울증, 인터넷 의존 관련 임상의학/뇌영상학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2011-2015년 기간 연건학생지원센터 정신건강실장으로 근무하였고, 2015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센터장을 역임하며 캠퍼스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활동하고 있다. 연구 측면으로는 청년기 우울증, 인터넷 의존 관련 임상의학/뇌영상학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윤영호 교수 lawyun@snu.ac.kr
- 가정의학교실
- 가정의학
▼ 펼쳐보기
▲ 접기
As a professor of Medicine, Dr. Yun specializes in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Health Promotion/Health Coaching' and 'Ubiquitous Health Care'.His fields of interest are Quality of life, Health education and coaching Cancer Survivorship planning, and End-of-life care. Dr. Yun's laboratory is performing research on Cancer Survivorship, Ubiquitous Total Health Care, and Cancer Control Outcomes, which help cancer survivors to manage themselves sustainably and effectively.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1990, Dr. Yun did his residency in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 worked at National Cancer Center as a head of the Office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promoting Hospice servic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supporting National Project for Cancer Management.
He won the Boryung Excellent Researcher award in 2011, the Best Researcher award of National Cancer Center in 2008, and the Academic award of KAFM(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in 2007, and received an award from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in 2009. His latest research papers are: Use of a decision aid to help caregivers discuss terminal disease status with a family member with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11, e-pub), Impact of awareness of terminal illness and use of palliative care or intensive care unit on the survival of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cancer: prospective cohort study.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11),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The feeling of burden as a predictor of depression.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08), Impact of prediagnosis smoking, alcohol,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on survival in male cancer pati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06)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1990, Dr. Yun did his residency in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e worked at National Cancer Center as a head of the Office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promoting Hospice service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supporting National Project for Cancer Management.
He won the Boryung Excellent Researcher award in 2011, the Best Researcher award of National Cancer Center in 2008, and the Academic award of KAFM(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in 2007, and received an award from the Minister of Health and Welfare in 2009. His latest research papers are: Use of a decision aid to help caregivers discuss terminal disease status with a family member with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11, e-pub), Impact of awareness of terminal illness and use of palliative care or intensive care unit on the survival of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cancer: prospective cohort study.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11),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The feeling of burden as a predictor of depression.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08), Impact of prediagnosis smoking, alcohol,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on survival in male cancer pati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Journal of Clinical Oncology.(2006)
전공강의교수

강웅구 교수 kangug@snu.ac.kr
- 정신과학교실
- 일반정신과학
▼ 펼쳐보기
▲ 접기
Dr. Kang runs an outpatient-based alcohol-dependence program, which aims at a “tailored treatment” according to individual patients’ motivations and needs. He has a strong interest in intracellular signal transduction and animal models of psychiatric illness. He also investigates the molecular mechanisms of psychotropic drugs and the behavioral and molecular aspects of stimulant sensitization.

이나미 교수 nami6107@snu.ac.kr
- 정신과학
▼ 펼쳐보기
▲ 접기
이나미 교수는 서울의대에서 정신의학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동대학병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격을, 미국 유니언 신학대학원에서 공자 연구로 종교와 정신의학 석사학위를, 뉴욕 융 분석 심리학 연구소에서 한국의 여성 창조 신화를 주제로 분석가 디플롬을 취득하여 분석심리학회와 한국 융 분석연구원의 상임이사 등의 활동을 해 왔다. .
분석심리학과 역사, 신화와 종교, 미학과 예술, 신경심리학, 수학, 환경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는 연구와 저술을 해 오고 있다. 2020년 “Thresholds and pathways between Jung and Lacan : on the blazing sublime (Routledge), Starting at the Beginning : laying the foundation for lifelong mental health (Academic Press), Cultural complexes in China, Japan, and Taiwan (Routlege)등의 공저자로 참여하였고, 20여권의 책들 중 여러 권이 베트남, 대만, 태국, 중국 등으로 번역 수출되었다.
분석심리학과 역사, 신화와 종교, 미학과 예술, 신경심리학, 수학, 환경의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통합하는 연구와 저술을 해 오고 있다. 2020년 “Thresholds and pathways between Jung and Lacan : on the blazing sublime (Routledge), Starting at the Beginning : laying the foundation for lifelong mental health (Academic Press), Cultural complexes in China, Japan, and Taiwan (Routlege)등의 공저자로 참여하였고, 20여권의 책들 중 여러 권이 베트남, 대만, 태국, 중국 등으로 번역 수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