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먼시스템의학개론 Introduction to Human System Medicine
변화된 사회 환경과 의학요구의 새로운 요구에 대한 부흥으로 의과학자임과 동시에 인간-사회를 통찰하고 이를 통합하여 아우르는 의학교육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인문학, 사회학, 의과학적 지식과 소양을 겸비하여 가장 최적의 판단을 하는 능력을 기른다.
전공과목
- 공공의료와 지역사회
- 지역사회 건강관리서비스
- 재난과 질병
- 재난의료시스템
1. 설립 배경과 필요성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변화된 사회 환경과 학생들의 의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부응
- 인간-사회를 통찰하고 이를 통합하여 아우르는 의학교육 필요성 증가
- 의료상황에서 만나야 하는 여러 대상자들은 인문학, 사회과학, 의과학적 지식과 소양을 겸비하여 가장 최적의 판단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함
- 인간, 사회 및 의학의 연계 및 융합적 지식과 소양을 가진 인재에 대한 사회적 요구
- 인간중심 사회가치 중심 및 의과학적 근거 생성, 평가, 판단에 시스템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출 필요
2. 교육 목표
- 인간중심, 사회적 가치 및 의과학적 최상의 근거 생성과 평가, 판단이 가능한, 최소한 이들의 지식과 경험을 융합할 수 있는 교육과 연구 수행
- 의과학적 근거에 입각하여 decision making을 하고자 할 때 인간 중심과 사회적 가치/적정성을 기반으로 의학적 결정을 할 수 있으면서, 매우 다양하고 시급한 의료 상황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인력 양성
- 최상의 의과학적 근거를 생성하고 의사결정시 이를 근거로 판단하되 인간과 사회 가치까지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와 교육적 필요성을 충족
- 이를 통해, 기존 기초의(과)학-임상의학의 이분적 체계에서 발생해 온 학문적 공백을 극복해 갈 수 있을 것이며, 학과의 신설은 임계질량(critical mass)의 형성, 융합과 협력을 통한 상승효과, 심화와 확장의 기초 단위라는 의미를 지닐 것임.
3. 기대효과
- 인성, 리더십, 국제적 안목을 갖춘 인재 양성
- 관련 학문 후속 세대의 양성
- 의학교육 혁신 사례 확산, 의학교육 발전 선도
- 학생 교육 만족도 향상, 교육 효과성 제고
- 인간-사회에 대한 가치적 판단 하에서 융합적 소양을 갖춘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